2년 반만에 발매되는 유러피언 재즈 트리오의 대망의 정규 앨범!
팝, 재즈, 뮤지컬 넘버 등을 클래식 선율에 담는 폭넓은 레퍼토리!
마크 반 룬(p)는 1967년에 태어나 네덜란드의 음악원에서 피아노를 배우고, 뉴욕생활을 2년 동안 보낸 후, 귀국하여 유러피안 재즈 트리오의 일원이 되었다. 작년, 첫 솔로 발라드 앨범 「I Still See You」을 발매하며 많은 호평을 받은 바 있다. 프란스 반 호벤은 1963년에 태어났으며, 폭넓은 장르의 음악을 체험하고 스스로도 그 음악들을 연주하며 베이스 이외에도 여러 가지 악기를 연주하는 멀티 연주자이다. 고도의 테크닉을 체득하고 있으며, 후배를 육성하는 데 있어서도 힘쓰고 있다. 로이 다커스는 1964년 출생으로 드러머였던 부친의 영향으로 스틱을 잡기 시작하여, 드러머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. 암스테르담 음악원을 졸업한 후, 많은 탑 플래이어들과 함께 공연을 한 바 있는 실력파 연주자이다.
이번 앨범의 오프닝은 마크 반 룬 작곡의 `Pray`이다. 섬세하고 따스함이 느껴지는 멜로디, 듣는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아 놓지 않는, 그야말로 심금을 울리는 뛰어난 연주다. 계속되는 두 번째 곡은 이탈리아의 베네치아 출신의 작곡가, 안토니오 비발디(1678~1741년)의 바이올린 협주곡 `사계 - 겨울 제 2악장`이다. 원곡보다 밝은 터치, 경쾌한 왈츠 리듬으로 멜로디의 아름다움을 강조했다.
`Recuerdos de la Alhambra`은 스페인 작곡가이자, 기타 연주자이기도 했던 프란시스코 타레가(1852~1909년)의 작품으로, 널리 사랑 받고 있는 넘버이다. 다방면에서 BGM으로 많이 사용되기도 하고, 여러 아티스트가 커버하고 있지만, 이 앨범에서는 로이 다커스(드럼)가 무겁고 깊은 리듬을 확보하면서 그 위에 반 론이 멜로디를 실어 자신들만의 풍경을 그려내고 있다. 다음은 `Spring Sea(봄의 바다)`. 주로 일본의 전통악기로 연주되는 이 곡은 일본의 정월을 장식하는 대표곡이지만, 이 트리오는 어디까지나 재즈라는 관점에서 다른 버전을 선보이고 있다. 도입 부분에서는 일본 특유의 색깔을 충분히 이끌어내고 있으며, 점차 이모셔널한 애드립을 전개해가며 그들 안에서 융화된 훌륭한 구성으로 완성시켰다.
`East of the Sun`은 1934년 브룩스 보우만이 작곡하여, 뮤지컬 「Stags at Bay」에도 사용되었던 악곡으로, 그 후 재즈 스탠다드 넘버로서 정착하였다. 유러피안 재즈 트리오는 마음껏 스윙하며 동시에 또 아무렇지 않게 전조하고 점차 흥겨워지는 음을 만들어낸다. 트리오의 절묘한 호흡을 여실히 증명해주는 연주이기도 하다.
스턴 게츠, 버드 파월, 마일즈 데이비스의 뛰어난 연주에 빛나는 `Dear Old Stockholm`은 스웨덴의 민요로 특유의 애수에 찬 곡조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. 다이나믹한 요소를 살린 퍼포먼스와 프란스 반 호벤의 세심한 베이스 솔로도 인상적이다.
`Fields of Gold`는 1951년 영국에서 태어난 인기 뮤지션 스팅의 인기곡이다. 앨범의 흐름을 깨지 않고 팝 음악을 커버해버리는 점 또한 유러피안 재즈 트리오의 매력 중 하나. 적당히 정열적인 리듬을 더해가면서 원곡의 장점을 살린 어프로치도 그들의 호감을 높이는 요소이다.
8번째 곡은 샹송의 커버로 프랑스 작곡가 기 라파르주(1904~1980년)가 낳은 `La Seine`이다. 무의식적으로 파리의 거리가 떠오르게 되는 멋드러진 연주이다.
`Midnight Sun`은 비브라폰 연주자 라이오넬 햄프턴(1908~2002년)과 작곡가 소니 버크(1941~1980년)의 공동작업으로 만들어진 넘버로 1974년에 발표된 곡이다. 느긋하게 행간을 읽으며 북유럽의 백야 때 보이는 태양을 환상적으로 묘사하고 있다.
이어 계속되는 곡 `In the Steppes of Central Asia`는 러시아 출신의 작곡가이자 화학자, 의사이기도 한 알렉산더 브로딘(1833~1887년)이 작곡한 교향시이다. 이 작품을 피아노 트리오로 연주할 줄야! 유러피안 재즈 트리오의 도전정신이 돋보이는 곡이다. 호벤의 베이스를 효과적으로 사용한 오프닝 부분에서 대륙을 건너는 바람이 느껴진다.
11번째 곡인 `Quiet Temple`은 뉴욕 출신의 재즈 피아니스트로 많은 팬을 가지고 있는 말 왈드론(1962~2002년)이 1965년 프랑스 영화 「Trois Chambres a Manhattan」를 위해 작곡한 곡이다. 말의 첫 솔로 앨범 「all alone」(1966년)에 수록 되어 있는 버젼을 생각나게 하는 재즈 팬도 많을 것이다. 조용하고 절제된 연주속에서도 기복있는 감정이 여과없이 드러나는 곡이다.
그리고 유창하면서도 귀기울여 듣다 보면 음의 사용이 꽤나 복잡한 `Somewhere`는 1957년에 초연한 뮤지컬 「West Side Story」의 곡으로 레나드 번스타인(1918~1990년)이 작곡하였다.
마지막 곡은 일본인이라면 누구나가 흥얼거리는 `Furusato(고향)`. 동일본대지진 후, 일본은 물론 해외에 있는 일본인들도 눈시울을 적시며 이 노래를 불렀다고 들었다. 확실히 2011년 3월 11일 이후, 이 곡은 지금까지와는 사뭇 다른 의미의 곡이 되었다고 생각한다. 유러피안 재즈 트리오는 가슴을 적시는 선율로 마지막 엔딩까지 정성들여 연주하고 있다.
유러피안 재즈 트리오의 스타일을 유지하면서도 멤버 세 명이 함께 아름다움을 연주에 반영해가는 것, 이것이 이제까지 보여온 그들의 변하지 않는 자세이기도 하지만, 거기에 더하여 그룹의 음악적 경험들을 쌓아나가면서 신뢰관계가 더욱 견고해져 표현의 자유도 이전 보다 훨씬 더 나아진, 그러한 진화도 느끼게 하는 앨범, 그것이 바로 이 앨범 「Pray~Spring Sea」이다.